사랑의 그늘
모두 가시고 세상에 단 자매만 남은 여동생 남편이 기관장 발령이 신문에 나자 가장 가까운친정 친척 들로부터 축하 전화가 나의게도 온다.
"제부가 기관장 발령이 나서 반갑제, 엄마가 계셨더라면 얼마나 좋아하실까 그거다 엄마의 공덕이다."
한목소리로 축하전화 내용이 오래전에 가신 어머니를 연상해줌은 생전에 계실 때 집안 대소 간에 어머니가 베푸신 사랑을 잊지않고 딸인 나의 게 어머니 자리를 기억해 주신다.
일하는 사람을 데리고 까지 시집온 부잣집 막내딸 신학문을 배운 당시의 신여성, 갑자기 기울어진 가세를 모르고 중매한 교장선생님의 미안해 함을 운명으로 받아드리신 나의 어머니는 몰락한 지방토호의 빈꼅데기인 우리집으로 오셨다.
기울어진 양반댁 자존심은 죽을 먹어도 일할 사람을 두는 상황을 간파한 어머니는 어른들과 의논해 엄마가 데리고 온 사람도 집에 부리던 사람도 과감히 내보내고 남이 부치던 논밭을 거둬 가족이 합심해 직접 농사 짓기를 강요하신 당찬 새댁이였다고 한다.
30년대 재봉틀은 재산목록 1호인때 외가에서 해주신 재봉틀이 어머니의 삶의 수단이 되었다고 하셨다.
털바느질은 내가 어릴 때 밤낮으로 듣는 재봉틀소리였다. 눈으로 보시면 다 할 줄아는 어머니 특히 바느질 솜씨는 뛰어나 어릴 때 나는 시골에서 보기 드문 원피스, 주름치마, 불라우스등을 예쁘게 해입고 학교에 가면 광목 삼베 치마 저고리 바지 저고리를 입던 친구들이 부러워했다. 바느질로 농사일을 품앗이하신 나의 어머니 노력이 계속되자 흩어졌던 가족 맘을 하나로 묶어져 시조부님을 비롯한 어른들은 어머니께 찬사를 아끼지 않으셨다고 한다.
할머니께서는 내가 어릴 때 남의게 어머니를 늘 우리 보배 라고 햐셨다. 부잣집 딸이 좌절하지 않고 팔을 걷어붙이고 현실에 적응해 집안을 일으키신 어머니의 대한 가족의 배려라고나 할까, 아들 형제를 두신 할머니는 삼촌이 육이오에 전사하셨어 며느리 사랑은 유별하셨다.
어렸을 때 어려운 대소가 여름 제사를 기억하신 어머니는 꼭 메쌀(제사밥 지을쌀)을 나를 시켜 보내셨다. 쌀밥이 귀한 시절 나는 어머니가 몹시도 원망스러웠다. 우리는 보리밥 주면서 심술난 나는 한웅큼씩 입에 털어 넣었다.
나는 결혼 후 어머니께 "엄마 엄마는 어쩌면 그렇게 할아버지 할머나께 잘 보여셨어요. 우리 어릴 때 할머니가 엄마를 우리 보배 라고 하셨잖아요. '라고 물으면 엄마의 대답이 잊을수가 없다.
나는 보통며느리 이상으로 한 것이 없지만 받아드리는 할머니, 할아버지께서는 나의 좋은 쪽만 보시고 칭찬해 주시고 대소가에 가서도 그러시니 자연 동네 어른분들도 나를 추켜 올려주니 나는 더 열심히 노력한 거고 아버지도 이런 나를 한없이 고마워 해서 자연 가족은 화목했고 가족간에 사랑은 그 무엇보다도 행복한 삶이라고 말씀하시고 나의게도 결혼생활을 그렇게 하라고 강요하셨다.
아버지가 가시고 우리 삼 남매를 결혼시킨 후에도 영농과 양봉에 대한 월간잡지를 받아보시고 영농일지까지 쓰시면서까지 과학적으로 농사일을 하셨기에 웬만한 농사꾼은 엄마께 배워서 농사와 양봉의 대한 지식을 도움 받았다고 하신다. 오빠는 이러시는 엄마가 안타까워 농사를 남을 주고 편한 노후를 보내시라고 권했지만 도회지 사는 대소가에 나눠주고 너희에게 주는것도 내 기쁨이라면서 추수가 끝나면 손수 포장해서 곳곳에 부처셨다. 삼종 조모 댁 며느리는 택호를 몰라 부쳐온 사과상자가 잘못 온것이라고 반품하려고 했다는 일화도 있었다. 이렇듯 어머니께서는 한평생 베푸시고 살으셨다. 온갖 과일과 오곡잡곡을 화물로 자녀들게 보내어 이웃에 부러움도 샀다. 애들이 어릴 땐 이런 친정도움으로 빨리 일어설수 있었다.
우리 남매가 제법 틀을 잡고 살 무렵, 농사일을 끝낸 어느 해 가을 카톨릭 제단 양로원에 대형세탁기와 냉장고를 사보내려고 제법 많은 돈을 장만해 오셨다. 그때 나는 입이 툭튀어 나왔다.
당신을 위해서는 버스값도 아끼시는 어머니께는 너무 큰돈이기에 반만주자고 권했다.
나는 맞벌이라도 하지만 제부가 혼자 벌어 애들과 어른 모시고 사는 동생께 좀 주지 않는 엄마의 뜻이 이해가 되지않았다. 나의 뜻을 읽은 어머니는 너들은 이만큼 살면 됐다.
공무원은 나라에서 먹고 살만큼 준다. 큰 잘못이 없으면 애들 공부시키면서 살 수 있다는게 어머니 지론이셨다. 딸 둘이 다 공무원에게 결혼시킨 어머니는 청빈과 도덕성을 갖춘 공무원이 되길 강조하셨다.
남편과 나는 퇴직을 하고 제부는 기관장으로 발령을 받으니 새삼 어머니의 삶이 돋보인다.
엄마가 계셨더라면 하는 친척분들의 전화가 엄마의 샮을 재조명해주신다. 가신지 20여 년이 가까운 지금 그 그늘이 아직도 내게 비춰준다. 나는 어떤 며느리고 엄마이며 이웃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