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 최지인 |
재래시장에 가니 벌써 여름이 지천이다. 복숭아에, 살구에, 자두에, 옥수수까지 없는 게 없다. 보기에도 먹음직스럽다. 반을 쩍 갈라서 한 입에 넣고 오물거리면 시큼 달달한 내 어린 날의 한 귀퉁이가 살아날 듯 유혹의 손짓을 한다. 울 엄마를 꼭 닮은 할머니로부터 살구 한 소쿠리를 건네받으며 불룩해진 장바구니 보다 마음이 더 배부르다.
예전에 우리집 담 한쪽 옆에는 두엄더미 때문인지 한창 태양이 위세를 떨치는 여름날이면 한 번쯤은 오가는 발을 쉬는 우리집이 그래서 많은 아이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곳이기도 했다. 특히 먹거리가 부족했던 그 때의 유실수란 대놓고 허락한 주전부리이기도 했다. 그러니 늘 오가며 살구나무의 열매가 커가는 걸 눈에 넣은 아이들은 하루하루를 익기만을 기다렸을 터였다.
어느 여름날. 입맛 다시며 쳐다보던 아이들이 울타리 밖에서 살구나무를 향해 신발을 던지기 시작했다. 후두둑 살구가 울타리 안팍과 두엄더미로 흩어져내렸다. 우-몰려들어 살구를 집어 입에 넣고 볼이 불룩해진 아이들은 여름처럼 싱싱한 웃음을 물었다. 그런데 문제는 두엄더미에 떨어진 신발이었다. 평상위에 버티고 앉아 녀석들의 작태를 느긋한 담배연기로 지켜보시고 계셨으니 __
아버진 꿈쩍도 않고 돌아가는 양을 저울질하고 계시지, 하던 나는 고만 눈물을 찔끔거리고 말았다. 결국은 마당으로 고개 쏙 떨구고 들어온 아이들이
저만치 길바닥에 내팽겨치고 죽어라 내빼는 친구들을 바라보며 울음 끝에 낄낄거리고 웃던 나만 아버지께 괜한 퉁박을 맞았다.
다음날 학교가는 길에 아버지가 살구를 한 소쿠리 들려주시면서 선생님께도 갖다드리고 친구들한테도 나누어 주라고 하셨다. 하지만 전 날 아이들을 보고 웃어제끼던 미안함이 부끄럽고 창피해 왜그리도 그 소쿠리를 들고 가기가 죽기보다 싫었었는지.. "씨이, 그러게 왜 어제 아들을 혼내뿌랬나...가만 놔뒀으믄 내가 먹을 것 앞에 장사없다고 전날의 서운함들은 다 어디로 팽개쳤는지 우와~ 함성을 지르며 삽시간에 달려들어 소쿠리는 금새 바닥이 났다. 그런 친구들을 보면서 아침에 먼길을 들고오느라 아팠던 팔이 한 순간에 싸악 낳는 것 같았다.
세월은 마당의 살구나무도 데리고 간 건지 어느 날인가 흔적도 없이 베어져 버렸다. 오늘처럼 재래시장에라도 갈라치면 문득 맞딱뜨린 과일전에서 발길을 멈추고 추억을 들여다 보게 된다.
살구는 양쪽으로 좍 가를 때의 그 첫느낌이 참으로 오묘하다. 순결한 처녀의 속살을 보는 듯 부드럽기도 하고, 막 목욕을 끝내고 뽀송뽀송해진 아가의 살냄새를 맡는 것도 같고, 사랑하는 사람과 첫 키스를 할 때의 달콤함처럼 아릿한 설레임도 함께 한다.
지나고 나서야 알게 되는 소중한 느낌들이 참으로 많지만 어린 시절 순수한 시간들을 채색한 대상을 만나게 되면 그 시간으로부터 자신이 얼마나 많이 떠나왔는가를 새삼 확인하게 된다.
현재 발 딛고선 길 위에서 가끔은 주저앉고 싶을 때 죽어라 오르는 육교의 계단 중간 어디쯤에서 지는 노을 등지고 서러워말고 재래시장에 한 번 가보기를 권하고 싶다.
더도 덜도 않은 삶들이지만 신산한 살이에 그래도 잉여의 몫을 향해 열심히 달리는 열정과 돌아갈 수 없는 시간들이 선물처럼 덤으로 얹혀져 오는 인정의 손길들이 있기 때문이다. 집을 향해 오면서 씻지도 않은 살구를 하나 입에 넣어 본다. 예전의 그 맛은 분명 아니지만 입안 가득 들어차는 달콤한 추억에 마냥 행복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