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째 며느리의 동생, 사돈 총각이 장가를 든답니다.
날짜가 만만치 않아서 직장에 나가는 내 큰아들도 내 딸들도 결혼식에 참석을 하지 못했습니다. 더군다나 지방에서 예식을 치루니, 내 집안에서는 아무도 참석을 하지 못했을 밖에요.
내가 몸이 시원찮으니 영감 혼자 보내기도 그렇고 , 부조나 섭섭지 않게 봉투를 빵빵하게 채우고 하루 전의 손녀딸 돌잔치에서 사돈을 뵙고 양해를 구했습니다. 내 몰골을 본 사돈내외가 부조봉투 받기를 마다하는 걸 반 강제로 들여밀고 백배 사죄를 드렸습니다.
참 어려운 자리가 사돈 지 간입니다. 하루 전에 치루어진 막내아들의 고명딸의 돌잔치는 딸 가진 부모라는 이유로 사돈의 많은 양해 속에 아주 성대하게 치루었습니다. 그 뒷날의 사돈의 결혼식은 어떻게 치루어졌는지 우리는 알 수도 없었고, 돌잔치를 마치자 차를 불러 대절하여 집으로 향했습니다.
뒤이어 결혼식은 잘 치루었으나 부조를 받고 맨입에 그냥 보낸 것이 마음에 걸렸는지, 다과 상자와 그 지방의 명품 전병을 정성껏 포장한 선물을 보내왔습니다. 미안하고 죄스러운 건 내 쪽인데, 오히려 사돈내외들이 몸 둘 바를 몰라했습니다. 지나치다 하면서 생각을 하니 이것이 아들 가진 사돈과 딸을 보낸 사돈의 한계인 것 같습니다.
아직도 아들을 둔 사돈이 갑이고 딸을 보낸 사돈이 을 이라는 느낌이 팽배하다는 걸 느꼈습니다. 요번 사돈 댁 결혼식을 보면서, 아직도 변해야 할 한국적 모순덩어리가 많이 잠재해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나도 딸을 둘이나 두고 있으니 사돈댁의 입지를 그리며 웃고 또 웃어봅니다. 난 큰 소리 치며 딸들 결혼식을 치루었는데....
만석이네 옥상엔 국화꽃이 지천입니다.
영감이 밥 해 먹느라고 손질을 하지 못해서 제 멋대로지만, 그래도 지나는 행인의 눈요기는 제법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