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옥 이맘 때 이지 싶다. 이렇게 쌀쌀함이 묻어나고 하늘의 별 조차 휴무에 들어간 이런 캄캄한 밤.. 제사를 지낸 뒤 친정어머니의 호롱불 불밝임은 항상 나였다. 장손이라 제사가 참 많았던 친정.. ![]() 고된시집살이에 한 달에 한 번꼴로 돌아오는 제삿상.. 차려 놓은 제삿상에 절 올릴 장손자가 없어 푸념 하시던 할머니의 일그러진 얼굴.. 그런 제삿상에 절 올릴 사촌오빠들의 모습에 의기양양하시던 작은엄마. 거기서 느껴지는 친정어머니의 쓸쓸함과 초라함.. 그땐 왜 그랬을까? ![]() ![]() 내가 이렇게 남의 집에 시집오고보니 그 제사 모두를 지금 엄마처럼 차릴려고하였다면 난 지금 여기 이렇게 살고 있었을까? 라는..나 혼자만의 독백과.. 제삿상을 물리고 모두 음복을 하면 어머니는 그 새벽에 음식을 따로 또 준비하신다. (제사는 항상 12시에 차리니 모두 지내고나면 1시정도) 동네 일가 친척에게 골고루 나누어 줄 제사음식이다. 그땐 그랬다. ![]() 제사를 모시고나면 꼭 음식을 장만하여 일가친척 이웃사촌에게 그 새벽에 한 다라이 제사음식 머리에 이고는 집집마다 모두 돌리셨다. 제사음식을 가지고 가노라면 친척들은 주무시지도 않았나보다.. 마루에 오래된 백열등이 발갛게 어둠을 거두어내고 빛나고 있다. 아마..우리집 제사음식을 기다리고 계셨나보다. 하긴 먹을게 부족하던 시절이니 그 맛난 기름진냄새가 동네를 진동했으니.. 잠인들 왔겠는가? 동네 그 날 누구집 제사다라고 하면 하루종일 동네가 기름냄새로 진동을 하였으니 괜하게 그런날은 기분이 좋아지는 그런날들이었다. 어떤 날은 엄마의 그 짐이 무거워 보여 내가 한 번 머리에 이고보면 탕국의 뜨거움이 머리 깊숙이 내려 앉는다. 그땐 왜 그리 밤이 어둡고 깊었는지.. 호롱불 든 나를 앞세우고 엄마는 ..<누구네집 가자>라고.. 그리고 .. 부엉이는 왜 그리 구슬피 ..부~~엉..하고 한번씩 울었는지.. 부엉이 소리에 꼭 귀신이 날 잡아 갈것 같아 엄마 옆에 찰싹 달라붙으면 간 졸인 내 마음만큼의 호롱불의 흔들림과 엄마와 딸의 그림자의 흔들림.. 무서움이었다. 일가친척은 왜 그리도 많았는지.. 엄마와 그렇게 그 밤을 제사음식 돌리는 것으로 날밤을 샌 기억~ 아침에는 일어나지도 못하고 해가 중천에 떠 일어나면 엄마는 그 새 그 모든 뒷치닥거리를 거두어 들이시고 언제 우리집 무슨 일 있었냐라는 그런 날들~~ 엄만 힘들었지만 우리들은 기름진 음식을 배 부르게 먹었던 내 유년.. ![]() 마흔을 훨씬 넘긴 엄마의 그때 나이가 되고보니 괜하게 그런 날들이.. 아니..그런 고소한 참기름 냄새나는 갖은 나물들과 전들이 먹고 싶음이다. 아니..아니..그때 그 제삿밥의 비빔밥이 먹고 싶음이다. 갖은 나물에 제사상에 오른 고봉 밥 한 그릇을 부어서 탕국을 넣어 비벼 먹던 제삿밥. ![]() 좋은것인지 나쁜것인지.. 시집에선 아버님께서 막내가 되다보니 우리는 제사를 모시지 않는다. 한번씩 제삿밥이 너무 먹고 싶었다. 그래서 이렇게 바람 은근하게 불어주고 쌀쌀한 저녁에 옛날을 추억하면서 헛제삿밥이지만 그때가 생각나고 마음 스산하여 난 헛제삿밥을 만들었다. 울 친정엄마의 그때 그 마음과는 정 반대인 마음을 담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