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작가

이슈토론
주 4.5일 근무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배너_03
친구끼리도 말 못하는 이야기

조회 : 621

누구에게 밥을 살까?


BY 은지~네 2007-01-09

한국에서 때는 남편 생일을 (연말 아니면 연) 음력으로 차렸었다.

날이면 시어머님이하  모든 시댁식구들이

우리집으로 모여서 남편 생일을 축하 주시고

하루 놀다 가시고는 했었다.

 

결혼 후에 남편의 첫생일은 긴장 속에서 모르고 치뤄졌었고  

다음 해부터는

매년 해마다 집에서 생일을 차리는 것이 귀찮기도 하면서

남편의 생일만 그렇게 챙기나

생일은?

하는 생각이 들었었다.

처음에는 좁은 소견에 입도 튀어 나왔었다.

 

그러나 지내면서 보니,

내생일도 차리기만 하면 안 오실분들이 아니었다.

그러나 그것은 내가 힘들어서 두손 두발을 들어야   일이었다.

대신 형님들과 시내에서 만나서

좋은 식당에서 맛있는 것을 먹고 영화를 보던가

아니면 다른 재미있는 것을 하는  것으로 대신하였었다.

 

그러면서도 새해면 어차피 모일텐데

가끔은 그냥 부부가 오붓하게 외식을 하던가

아니면 여행이라도 하루 갔다 오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하였었다.

그러나 시댁의 분위기상

그것은 주변 식구들을 꽤나 실망을 시키는 일이었다.

당신의 귀한 아들이 며느리에게 대접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시부모님은 물론이요,

그런 날이면 차려서

낳아 주신 부모님을 대접해야 한다는 이론을 가지신

우리 큰 형님과

그런날이나 동생집에 가보지 언제 가냐고 생각하시는 아주버님...

 

안차린다는 것은 생각도 못할 일이라서

어차피 차릴 즐겁게 해야

나도 즐겁고 다른 사람도 즐거운 것이라고

마음을 가다듬고 나니 크게 힘들 것도 없었다.

생일 일주일 전부터

집안 어른들께 전화를 하여서 언제 주십사 청하고,

메뉴를 짜고, 시장보고, 청소하고, 음식 차리고....

그러면서 핑계김에 남편의 다른 친구들도 청하기도 하여

북적북적한 생일을 해마다 차리고는 했었다.

 

그런데 막상 이곳에 와서는 양력으로 12 29일에 하고 있다.

그러나 생일이라는 것이 너무도 조촐하다 못해

초라한 생일이 되고  왠지 쓸쓸한 날이 되고 있어서

이제는 아예 생일이라는 생각도 하기가  싫어지고 있었다.

외식도 하기 어려울 해야 맛이지 이거야 ~~

청할 사람이 없어서 하는 외식은 안하는 것만 못하다.

 

그리하여 몇년전부터는,

날이면 남편은 회사에 휴가를 내어 식구들하고 외출을 하던지

아니면 근처의 (최소한 세시간) 후배나 지인등을 찾아 간다.

가서  생일이라는 말도 하지 않고

밥을 사주고 이야기를 하며 놀다가 온다.

 때도 맞춰서 연말이니까

사람들은 그냥 연말이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