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에서 태어난
슈타이너 루돌프의
인지학적 접근 교육방법에
인간의 영혼을 맑고 깨끗하게
키워주고 어루만져주고 지켜주는 교육.
동화는 조용한 소리로
어른이 속삭이듯이
들려 준다.
아이는 정화시켜
가슴으로 받아들인다.
오래오래 가슴에 잔잔히
남아서 자기의 인생을
아름답게 끌어간다.
음악은 농사 지으며 흥얼흥얼 하듯
집안 일하면서 흥얼흥얼 하듯
잠잘 때 자장가 처럼 고운 소리로
아이의 가슴에 안기는 고운 소리로
몸동작은 달빛에 구름가듯
우주의 해와 달과 별의 기운을 받듯이
음악과 함께 선녀의 옷자락이 휘날리듯이
의식이 서서히 깨이게 잠이 많은 아이들의
의식을 활짝 열리게 생음악에 맞춰서
몸을 움직이면 희열이 온몸에 스며들면서
자연스럽게 기분좋게 의식이 깨어 공부가 잘 된다.
그리기 만들기 꾸미기등은 자연을 벗삼아
자연물로 닭집도 지어보고 새집도 지어보고
자연물인 비단과 면으로 인형을 만들어
대화하며 놀이를 한다. 같은 동갑들과
놀이를 한다. 소꿉놀이를 한다.
돌과 모래를 가지고 놀이를 한다.
작은 식물 한 그루를 가꾸어도 대화를 하면서
키워 먹걸이로 만들어 몸으로 들어가는 음식물도
깨끗한 것을 정결하게 먹는다.
기하학의 기초 대수의 기초도 몸으로 동작으로
미술 작업을 하면서 깨달아 이해하여 알게한다.
20세의 성인이 될 때까지
어른은 한 아이의 성장을 위하여 돌보아야 한다.
부모와 교사의 역할은 중요하다.
나비가 되려면 알과 애벌레와 번데기의 과정을 거치듯이
아이가 어른이 되려면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를 거치면서
특히 사춘기라는 격동기를 거치게 된다.
애벌레에게 풀을 먹이지않고 꿀을 먹이면 안되듯
번데기 시절인 사춘기의 격동기에는 위험한 공사중이다.
사춘기의 아이를 양육하는 부모나 교사는 허가받은자
즉 자아를 승화시킨자가 교육을 맡는 것이 중요하다.
<건방진 아이>라고 혼을 내면 안된다.
주변 어른이 모범을 보인다.
이상에 맞게 사는 어른이 있어야한다.
말을 높여 준다.
익살과 늠름한 모습,유모어가 있는
교사와 부모 어른이 주위에 있으면 행운이다.
적합한 시기에 적합한 양식을 줘야한다.
애벌레에게 꿀은 안 되듯이.
이러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이 세상에 살인자는 없을것이다.
사춘기 아이들에게 연극 역할극을 하도록 하여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자기를 다듬도록한다.
가구,그릇,물건 만들기를 통하여 반듯하게 자아를 승화시킨다.
물질승화를 하면서 자아 승화로 전환하는 교육.
선율과 화음이 있는 아름다운 노래를 많이 부르게 하여
인간의 영혼을 부드럽게 온유하게 그 정신에 날개를 달아줘야한다.
무한한 상상의 날개
명상을 하면서
잡생각을 떨어뜨리게하고
내가 무엇이라는 생각, 생각의 제압 방법
생각을 가지고 생각을 제압하는 방법으로 자아를 키운다.
혼란한 생각 속에 사는 현대 사람들
친구를 만나야지 밥을 먹아야지 무엇을 사야지
이러한 끊임없는 생각을 비우고 쉬운대상 한가지
예를 들어
<수저>는 무엇인가?
쇠- 광산에서 왔다--채취한다-운반한다-용광로에
들어간다등 생각을 따라 수저가 되기까지를
명상하는 동안 머리속은 깨끗해져 견고한 느낌이 생긴다.
내면에 공간이 생긴다.
인간은
튼튼한 자아를 키우는 작업이 20년이 걸린다.
현명한 어른이 되어 현명한 아이를 키우는 일
발도로프의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