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작가

이슈토론
반려 동물세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배너_03
친구끼리도 말 못하는 이야기

조회 : 1,899

부모자리


BY 선물 2003-07-23

약 10년전 쯤의 일이다. 내가 이 곳 일산으로 이사오기 전에 살던 동네에서도 성당 반모임은 한달에 한 번씩 꼭 이루어지고 있었다. 아마 개신교의 구역모임과 비슷한 성질의 모임이리라. 위로는 70대 할머니부터 갓 서른이 된 나까지 7~8명이 항상 반모임에 나왔는데 나보다 인생경험이 많으신 분들과의 대화가 서로 나이도 잊게 하고 그리 즐겁고 행복하기만 했었다.
한결같이 소녀같기만 하신 인생의 선배님들은 그러나 삶의 고단함을 한창 겪고 계시기도 했었다.


그 때 중학교 딸을 둔 사십 중반의 형님(성당에서는 손위 분을 가깝게 형님이라고 부른다.)께서는 한창 사춘기인 둘째 딸과의 어려움을 토로하곤 하셨다.  세상이 너무 밝고 늘 행복하다고 말씀하시던 그 분에게 딸아이의 사춘기는 일종의 십자가와 같은 고통이라고까지 말씀하셨는데 아직 엄마말에 고집은 좀 부리긴 해도 반항할 줄은 모르는 어린 나이의 아이들을 둔 나로서는 선뜻 그런 상황을 이해하기 힘들었다. 아이가 자라는 과정에서 사춘기는 자연스레 지나갈 것이고 결손가정이나 특별히 문제가 있는 가정이 아닌한 그 정도가 그리 심하지 않을텐데  왜 저토록 밝은 분이 저리도 먹먹한 가슴으로 어두운 얼굴을 하실까 의아한 맘이었다.

 

그러나 십년이 지나 내 딸아이가 이제 사춘기로 접어 들고 보니 자식 둔 사람이 왜 큰소리쳐서는 안되는지를 절감하게 되었다. 그 때 내가 그 형님을 보고 답답한 맘을 가졌던 것이 얼마나 멋모르고 먹었던 교만한 맘이었는지를 지금에야 알게 된 것이다. 아이는 언제인가부터 엄마를 무시하기 시작했다.그리고 엄마를 싫어하기 시작했다. 나는 내가 생각하는 모습에서 어긋나고 있는 아이에게 결코 관대해 질 수 없었고 아무리 시대가 바뀌었다고 해도 용납할 수 없는 것에는 마음을 열 수가 없었다.


조금이라도 단정치 못한 옷차림에는 모진 말로 상처를 주었고 그럼에도 아이는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을 기어이 고집스레 하고야 마는 것이었다. 그래서 초등학교 6학년때 아이는 엄마도 한 번 뚫지 않은 귀까지 뚫었고 반곱슬머리를 매직스트레이트까지 하고서야 중학교 입학식엘 가는 것이었다. 그 과정에서 어른을 모시고 사는 나는 위로,아래로 다 마음이 쓰여 어렵기가 그지 없었고 내 뜻대로 안되는 아이에게 정말 미움의 감정을 갖기도 했다.
아이가 중학생이 된 뒤로는 그 정도가 더 심해져서 아예 아이는 엄마가 싫다는 말까지 서슴없이 내뱉는다. 나는 아이의 말에도 상처를 받는다. 이젠 시부모님보다도 딸아이에게서 더 많은 어려움을 느끼게 되었다.


그러나 나는 그동안 너무 우물안 개구리처럼 바깥세상을 잘 모르는 엄마였고 시부모님과 한 편에 서서 아이를 바라보다보니 아이에게는 가장 편하고 이해받을 수 있는 그런 푸근한 모정을 가진 엄마가 아니었던 것이다. 신문을 보거나 텔레비젼을 보아도 그건 저 쪽 세상의 어떤 일이거니 하고 생각했지, 나의 일이라고는 생각지 않았던 참으로 태평하고 치열하지 못한 감정을 가진 답답한 엄마였을 뿐이었다.

 

최근 학부모 모임에 몇 번 나가보니 의외로 많은 엄마들이 아이들의 세계를 존중해주고 있었다. 이젠 나도 긍정적인 운동으로 알고 있는 재즈댄스도 아이가 처음 배우고 싶다고 했을 때 이상한 눈빛으로 아이를 겉멋 든 생각없는 사람으로 단정해서 반대했었고 아이는다른 아이들 엄마보다 늘 고리타분하고 자신을 나쁘게 생각하는 엄마에게 조금씩 담을 쌓게 된 것이다. 그러나 아이를 항상 존중하고 그 아이입장에서 생각하려는 내 이성과는 달리 내 표현은 자꾸만 조급증을 갖고 아이를 힘들게 하게 된다.


어느날 신발정리를 하다가 아이의 신발을 가지런히 놓던 중 갑자기 나는 아이에게 애정표현을 하고 싶어졌다. 늘 너 때문에 엄마는 우울해라는 표정만 보였던 것 같아 마음이 걸려서 `실은 너 때문에 행복할때가 더 많아'라고 말해주고 싶어졌다. 그러나 아이는 또 자신이 하고 싶지 않은 일을 시키는 것일거라고 지레 짐작했는지 대답조차 하지 않는 것 같았다.
아,순간 나는 화가 나기 시작했다.
내가 생각한 각본대로라면 다정한 말로 딸아이에게 애정표현을 하면 아이도 행복해하며 살갑게 다가와서 좋은 그림을 그렸어야 했는데 또 저 아이는 엄마 맘도 몰라주고 제 멋대로이구나 하는 생각에 약이 바짝 올라서 한참 나중에야 대답하며 나온 아이에게 "귀가 먹었니? 지금 나오긴 왜 나오니? 그냥 방에 처박혀 있지!" 하며 모진 소릴 내뱉고 말았다.
아이는 역시 엄마가 저렇지하는 표정으로 뒤도 돌아보지 않고 제 방으로 쏙 들어가 버린다.
나는 따라 들어가서 뒤통수라도 한 대 때려야 맘이 풀릴 것 같은데 그저 기가 막혀 멍하니 서있기만 했다.


이런 엇갈림이라니...
괜히 좋은 맘 먹었다가 오히려 속만 뒤틀린 나는 심란스러워졌다. 그러나 돌이켜 생각하면 문제는 아이가 아닌 엄마에게 있는 경우가 더 많았던 것 같다. 텔레비젼을 똑같은 시간에 똑같은 모습으로 평화롭게 보고 있는 아이에게 엄마인 나는 늘 내 기분에 따라 그 모습을 그냥 두고 지켜보기도 하고 또 있는대로 짜증내며 아이를 공부하라고 방으로 몰아버리기도 하는 것이다. 물론 아이는 똑같은 상황에 백팔십도 다른 반응을 보이는 일관성 없는엄마에게 아무런 존경심도 갖지 못했을 것이다.


나는 그러면서 내 부모님을 생각해본다. 나는 거저 자란 것만 같았다.먹여주고 입혀주고 재워주기만 하셨을 뿐 나스스로는 마치 시루의 콩나물처럼 물만 주면 알아서 쑥쑥 자란 것만 같았다. 그러나 조금만 깊이 생각하면 나또한 부모님께는 지금 내 아이와 똑같이 말 안 듣는 아이였었다. 그래도 내 엄마는 책값에 돈을 더 붙여 말해도 한 번의 의심도 없이 돈을 건네 주셨고 책상에서 공부해야할 책 밑에 다른 소설책을 펼쳐 놓고 몰래 몰래 보고 있었어도 한 번도 의심내며 그것을 들추어 야단치시지 않으셨다. 나는 내가 그저 큰 것이 아니라 부모님의 자식에 대한 신뢰라는 넉넉한 자양분을 먹고 자라난 것이다.


그렇게 자란 나는 지금 책상앞에 앉아 있는 아이의 책밑에 깔린 낙서하다만 종이를 들추어 내서 혼내고 책 뒤에 있는 정가표보고 확인하는 의심많고 까다로운 엄마가 되어 있으니 아마도 나스스로 알고 있는 죄가 너무 많은 것이 탈인가보다.


어디인지는 모르지만 고대 어디에선가 발견된 기록 중에는 `요즘 아이들은...'으로 시작되는 것이 있다고 한다. 그 오랜 옛날부터 어른은 자라나는 아이들을 보며 세대차이에 인한 걱정을 해 왔던 것이다.
누군가 부모자리는 자식을 기다리는 자리라고 했었다. 아이가 자라면서 겪어야할 과정들을 나는 크게 잘못되지 않는 선에서는 인내를 갖고 지켜보며 기다려 주어야 하는 부모자리에 서 있는 사람인 것이다. 그래서 나는 아이의 `보호자'이지 절대 권력을 가진 `지배자'는 아니어야 한다.


왜 부모 교육이 필요한 것인지를 절감하고 있는 하루하루이다. 아이에게 명령하지 말고 조언을 해야 하며 아이를 자주 안아주어야 하며 늘 품어주어야 하는 이 엄마는 알면서도 순식간에 감정대로 해 버리고 마는 아이와 같은 철부지 사춘기 엄마일 뿐인 것만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