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수선공k의 선전선동 지라시
#최정란 산문집
#시간의 틈으로
당신의 가려운 등을 시원하게 긁어주는
최정란 작가의 두 번째 산문집
『시간의 틈으로』
내일부터 전국 서점에서 주문이 가능합니다.
치곡견색, 오직 직구로 승부한다
― 최정란 산문집 『시간의 틈으로』
2020년 『수필 문학』으로 등단한 최정란 작가의 두 번째 산문집 『시간의 틈으로』(달아실 刊)이 나왔다.
산문집은 총 40편의 글을 싣고 있는데, 5부로–1부 오늘의 거짓말, 2부 백색소음, 3부 아버지들에게, 4부 착한 빚 vs 나쁜 빚, 5부 시간의 틈으로-나누어 각 부마다 8편의 글을 싣고 있다.
최정란 작가는 가족의 경제를 책임지기 위해 삶의 최전선에서 산전수전공준전을 다 겪은 전사다. 그래서일까. 그는 사소한 일에도 그냥 지나치는 법이 없고, 에두르는 법이 없다. 야구에 있어 투수로 비유하자면 그는 오직 직구로 승부하고, 타자로 비유하자면 선구안이 뛰어나고 스트라이크 존에 들어온 공이라면 상하좌우 어디든 때려낸다.
약자라고 가난하다고 못 배웠다고 서민들을 우습게 여기고 함부로 대하고 공공연히 업신여기는 모든 비뚤어진 강자들, 무법자들에 대하여, 설령 그가 대통령의 자리에 있다 하더라도, 한 치의 물러섬 없이 그의 불의에 대해, 잘못에 대해, 위선에 대해 대놓고 깐다.
그뿐인가. 일상의 그 어떤 사소한 것도 그에게는 훌륭한 글의 소재가 되고, 아무도 관심 두지 않는 일도 그에게는 또한 맞춤한 글의 소재가 된다. 어디를 가든 누구를 만나든 무슨 일을 하든 그의 시선이 닿으면 곧 글의 소재가 되고 제재가 된다.
요양 보호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실제 요양 보호사 일을 하면서 겪은 일들(「국민 파출부」, 「침묵으로 동참」, 「퇴직」) 속에서 조화로운 삶, 함께 사는 삶을 성찰하기도 하고, 설거지를 하다가, 밥상을 차리다가 지구환경 문제가 당장 내 삶에서 내 일상에 비롯되고 있음을(「내 몸속 플라스틱」, 「청소하는 미생물」) 성찰하기도 한다.
“그 다음으로 사소한 일도 무시하지 않고 최선을 다해야 한다. 사소한 일에도 최선을 다하면 정성스럽게 된다. 정성이 생기면 곧 형상이 생기고, 형상이 되면 곧 드러난다. 드러난 것은 이내 밝아지고, 밝아지지만 남을 감동시킨다. 감동시키면 변하게 되고, 변하면 생육된다. 그러니 오직 세상에서 지극히 정성을 다하는 사람만이 나와 세상을 변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핵심은 치곡(致曲)이다. “작은 일(것)에도 정성을 다해 끝까지 살펴 최선을 다한다”라는 의미이다. 치곡이 나를 변하게 하고 세상을 변하게 한다는 것이 23장이 전하는 메시지다.
연암 박지원은 이 치곡에 견색을 더해 선비가 문장을 지을 때는 반드시 “치곡견색(致曲見賾)”을 견지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견색(見賾)이라 함은 심오하고 깊숙한 곳에 있는 나만의 것을 발견한다는 의미다.
최정란의 산문에서 ‘치곡견색’을 읽었다면, 당신은 이미 훌륭한 독자라고 할 수 있겠다.
■ 작가 소개
지은이 _ 최정란
강원도 태백에서 나고 자라 춘천에서 살고 있다. 2020년 『수필 문학』으로 등단했다. 2020년 김유정 기억하기 제27회 전국 문예작품 공모에서 우수상을 수상했다. 강원 문인협회, 춘천 문인협회, 강원수필, 춘천수필 회원이다. 산문집으로 『나는 아직도 몽고반점이 있다』(2023), 공동 저서로 『기타리스트의 세탁기』(2020), 『텅빈 극장의 엔딩크레딧』(2023)이 있다.
[출처] 치곡견색, 오직 직구로 승부한다 ― 최정란 산문집 『시간의 틈으로』|작성자 소통 출판사 서평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