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작가

이슈토론
창업박람회 65세 이상 관람객 단독 입장 제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배너_03
친구끼리도 말 못하는 이야기

조회 : 368

수선화 닮은 꽃을...모두에게


BY 마야 2004-01-24

수선화는 창가에 피어 있어야 제맛인데...

그래서 달빛도 받고.

사람의 눈길도 받고.

수선화 같은 알 뿌리 화초를 강제로 겨울에 심었다.

삼결살을 구워먹는 나의 한국산 작은 석쇠가 있는 사각 불화로에.

-다음 여름에 삼겹살 구워 달라는 부탁이 들어오면 그때 비우지요 뭐-

그랬더니..노랑.하양.보라색.

꽃이 무덤처럼 피기 시작한다.

알뿌리 화초에게 합장하고...고맙다. 피워 주어서.

 

올 한해는 특히나 큰돌님의 가슴과 주변에 많은 수선화 피었으면 하고 바란다.

어제밤에 이런 꿈을 꾸웠다.

두칸으로 마치 책꼿이 처럼 벽에 걸린 작은 어느 집의 입구에 제음식인지 설음식인지가

잘 차려져 있고, 찐 병치-물고기-얼굴에 그댁집 안 주인의 얼굴이 보인다. 꼭 호호아줌마같은.

그래서 너무나 맛있게 먹었다. 이것저것.

그리고 그곳에 이렇게 씌여져 있었다.

"누구든지 더 들고 가고 싶은 이는 말씀하세요..좋은 명절을 기원드립니다."라고요.

이상했다. 제사 음식같은 메뉴에 새해 인사였다.

 

지어낸 이야기가 아닌 어제밤에 꾼 나의 꿈 이야기 였다.

임신을 한 뒤 늘 어떤 특정한 음식이 그리운데...나는 자주 꿈속에서 그것들을 아주 배 불리

먹고 일어난다. 정말 먹은듯 배가 불러오고 얼마 뒤에는 그 음식이 그립지 않다.

어제 밤에도 그랬다.

생각해 본다.

꿈에 음식을 먹으면 몸이 아플것이라는 말인데...

나는 그에 반대로 해몽을 했다.

"음...이 아이는 내가 죽을 목숨이었는데.. 날 살리는 모양이로구나!"라고요.

 

어떤 인연들이 있다.

칼막스와 엥겔스의 만남은 세계를 두 동강이 냈다.

고호와 고갱의 만남은 두 작가의 심연을 굵게 만들었다.

나와 이 아이와의 만남은....

나는 관세음 보살의 피력이 가피가 이 아이를 통해서 내려오는 것 이라 믿는다.

입덧.

없다.

몸의 고단,피로. 없다.

정신이 점점 맑아지고. 세상의 사물이 직관할 때처럼 보여지고 느껴진다.

만남.

나는 처음으로 이 아이와의 만남을 기다린다.

 

나는 이 아침 왜 이 글을 쓰느냐면...

수선화 보자 마자. 아버지로 가슴하픈 큰돌님 에게 보내고 싶다라는 생각을 처음했다.

해서.... 수선화 보내 듯이 이 글을 큰돌님에게 보내고 싶어서....

세상엔 아주 작아서 보이지 않는 천사도 있고.

세상엔 아주 커서 잘 보이는 고통이라는 괴물도 있다.

세상에서 가장 힘든 고는.

피로 맺어진 인연이다.

나는 어쩌면 피로 맺을 인연을 거부해 오다가...뒤늦게 받아들이고 있다.

혈연이 주는 고통은 너무나 사랑하기에

그 증오의 폭도 크고. 기쁨도 크다.

부모.자식.자매.형제. 사랑하는이.미워하는이.그리운이.

하지만...그리움.사랑.

이 두 단어가 인간의 가슴속에 있는한 인간은 여원히 살아있을 것 이며.

역사는 변할 것이다.

그래왔으니까...뭐 믿는 것이 아니라...역사가 이미 증명했으니 믿어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아컴방의 모-든-이들에게.

수선화처럼 생긴 꽃무덤을 새해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