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순이 솟고 꽃을 피우기 시작한 꽃쇠비름이 누렇게 변했다.
정원을 관리한다고 잡초제거 작업을 하는 사람들이 틀림없이 꽃쇠비름에 제초제를 뿌렸을 것이다.
벌써 세번째다.
제초제를 살포하는 것이 일인 그들의 눈에는 모든 풀이 잡초로 보이는 모양이다.
개 눈에는 뭣만 보인다니 탓을 한들 뭐하랴.
나는 꽃을 가꿀 때 모종을 사다 심는 경우는 드물다.
여기저기서 옮겨 심거나, 꺽꽂이 또는 씨앗으로 키우기를 즐긴다.
그렇게 키우면 비용도 적게 들고 대량으로 키울 수 있어서 좋다.
모종을 사다 심는 것과 달리 처음에는 볼품이 없어도 나중에는 오히려 자연스럽게 어울려 더욱 아름답다.
그런데 그것들이 다 자라기 전에 수난을 당하기 일쑤다.
하기야 나랑 같이 사는 남편도 내가 애지중지 키우는 꽂을 잡초라고 쑥 뽑은 것이 한두 번이 아니다.
꽃과 잡초의 차이는 무엇일까...
꽃과 잡초가 서로 다른 종류인 줄 착각하는 사람이 많다.
'어머, 이것도 꽃이 피네요!'...내가 흔히 듣는 말 중 하나다.
눈에 확 띄느냐 덜 띄느냐의 차이는 있지만 거의 모든 나무나 풀은 꽃을 피운다.
사람들이 자기 정원에 가꾸면 정원수와 꽃이 되고 아니면 들판이나 산에 널린 나무와 잡초가 된다.
그래서 꽃과 잡초의 구분은 정원사가 원하는 장소에 있느냐 아니냐로 구분한다고 한다.
맞는 말이다.
나도 아무리 이쁜 꽃이라도 다른 꽃이 자라는 장소까지 침범하면 가차없이 뽑아내 버릴 때가 많다.
때론 국화, 채송화, 봉선화, 과꽃 그 무엇이든 내가 원하는 자리에서 자라지 않으면 잡초가 될 수 있다는 말이다.
그나저나 나는 무슨 수로 제초제를 뿌리고 다니는 사람들에게 내 꽃을 잡초가 아닌 꽃으로 알게 할 수 있을까?
남편은 그들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해야 한다고 한다.
내 꽃을 원상회복 해달라고 요구해야 그들이 그런 실수을 반복하지 않을 것이란다.
그런 방법도 있었구나...싶다.
내 꽃은 모종을 사다 심은 것이 아닌데, 그들이 내 꽃을 어디서 구할 수 있을까...
원상회복이 아니고 그런 실수를 반복하지 않게 하는 것이 목적이니 난처하고 곤란하게 만들 수록 효과가 크겠지.
남편이 말하는 방법을 한번 써봐야겠다.
도란도란친정엄마와의추억이많으면,좋쵸
울동네는보기조차힘들어요
얼마나뜯어들가셨는지ㆍㆍ
어떤꽃밭일지상상해봅니다ㆍ
언니들과 달리 저는 친정엄마와 보낸 시간이 참 많았네요.
평생 조신한 여자였던 우리엄마가 너스레를 떠는 것을 본 적이 있지요.
제가 결혼 후 친정집에 갔더니 우리엄마가 버선발로 두 팔을 벌리고 뛰어나오며 이리 말하더라구요.
"딸아, 딸아, 막내딸아."
에구, 갑자기 눈물나게 엄마가 보고싶네요.
공감합니다ㆍ
엄마와의추억이있어그래도행복이라
여기며,살아갑니다ㆍ
거기 쇠비름은 예쁘던데 왜그랬을까요?
정말 속상 하시겠어요.
모르고 그랬으니 이제부터 똑바로 알고 같은 일 반복되지 않도록 강력히 어필하는 팻말을 하셔야겠네요.
뽑힌 쇠비름이 이렇게 말한다네요.
"비가 오려나, 어찌 온 몸이 찌부듯하다."
그리고선 몸을 뒤척여 다시 뿌리내리고 자란답니다...ㅎㅎ
그런 쇠비름도 제초제에는 맥을 못추더라구요.
팻말을 어찌 만들까 생각 중입니다.
영업장소이니 팻말도 보기 흉하면 곤란하니까요,
우리 식당 주변은 내가 알아서 관리할테니 제초제를 뿌리지 말라고 여러번 부탁을 했는데도 말을 안듣네요. 꽃이 눈에 안보이는 사람은 경고 푯말을 세워도 안보일 가능성이 많지요.
더구나 그런 일을 하는 인부들은 영어를 못하는 사람이 많더라구요.
잡초라기엔---.
살아남아 예쁜 꽃 피운 녀석, 너무 예뻐!
내 정원에 들여놓고 가꾸면 잡초도 화초가 되니까요.
저도 그리 당한적있긴한데
어찌나 속상하던지
낸시님 마음 알것같아요
원상회복이라
님이 관리하는 화단이고 인부가그런거람 금전적인 경고하심 효과있을듯
무언가 아리송한풀은 최소한 한번더 물어보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