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 2,783

소년왕의 슬픔이 서린 장릉


BY 세번다 2016-07-26

장릉 이번이 처음 방문은 아닌데 왜 이곳을 오면 서글픈지

소나무도 불쌍한 소년왕을 위해서 애도하는듯하고

 

세계문화유산의 표지가 당당한 조선왕릉중 제일 멀게 차지하고있는 장릉

17세의 나이에 시대의 흐름에 의해 단명한 소년왕 단종을 기리는 왕릉이죠

그나마 이왕릉도 사후 한참만에 중종지나고 영정조 시대에 조성이 되었으니

세조의 서슬프런 권력으로 인해서 그 어린나이 죽은 소년왕 단종이 그 시체도 동강에 버려져 아무도 수습못하게 한것을 그당시

영월의 호장이었던 엄홍도가 목숨을 걸고 수습해서 지키다가 이리 왕릉으로 모셔지게된것이죠

소년왕의 슬픔이 서린 장릉 

장릉내 낙촌비각

장릉을 세우게 되었던 중종의 명을 받들었던 박충원이 서인이되었던 노산군의 묘를 찾아서 세운것을 기념하는 비각이라니

중종의 명에 의해서 찾았던 묘가 숙종 영정조를 거쳐서 지금의 왕릉의 규모를 갖추게된것이죠

소년왕의 슬픔이 서린 장릉 

 

보호수로 잡고있는 느릅나무

소년왕의 슬픔이 서린 장릉 

 

정자각 이곳에서 제를 올리기위해서 단을 갖추었던곳

소년왕의 슬픔이 서린 장릉 

왕릉을 가면 홍살문

경계석이라고 할수있죠

소년왕의 슬픔이 서린 장릉

 

 

신도

이곳은유일하게 기억자로 꺽인 구조 아마 원래의 왕릉이 아닌 구조로 시작되서 참도가 이리 된것일것이에요

신도는 혼령이 걷는길 그옆길이 왕과 신하가 따라가는길이죠

소년왕의 슬픔이 서린 장릉

 

연못이 조성되어있었는데 수련이

소년왕의 슬픔이 서린 장릉

소년왕의 슬픔이 서린 장릉 

 

단종의 왕릉 장릉의 봉분

무척 높은곳에 우뚝솓은 모습

ㅈ정자각에서도 봉분이 보이지를 않지요

아마 그당시 산속에 그냥 묻은것을 왕릉의 규모로 갖추다보니 다른 왕릉과는 좀틀린모습이고

무엇보다도 단종비는 남양주에 홀로 모셔져있고

정순왕후의 왕릉이 이곳으로 모셔져오던지 해야할까 전 그생각이듭니다

어릴적 생이별한 부부가평생 이리 멀리 떨어져있으니까요

단종도 안타깝지만 어린나이 생이별해서 오랜세월 홀로 지내다 떠난 그 단종비는 얼마나 더 힘들었을까요

거의 서인처럼 경제적인 궁핍과 외로움속에서 그래도 체면상 표현도 못하고 살았을터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