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학년 교육과정이 너무 학습 분량이 많다.
인성교육이나 인간미 교육은 언제 할것인지
우리 반에서는
월요일--- 동시 외우기
화요일--- 동물이나 식물 색종이 접기
수요일--- 책읽고 느낌 그려오기
목요일--- 힘든 일 한 가지 하기
금요일--- 사자소학 외우기
토요일--- 미술전시회나 자연 관찰하기
일요일--- 명심보감 한 구절 읽고 가족과 대화하기
체험위주의 교육과정이라서
학부형들이 힘든 일이다.
먹고 살기 바쁜 부모들은 거의 무관심 상태다.
소신을 가지고 한 주일을 이렇게 따라하는 집안은
가정의 격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있다.
아이로 인해 젊은 부부들이 생각이 달라지고
생활이 어떤 규범을 찾는 것 같다.
아이가 숙제를 해 오는 것으로 봐서
그 집안이 가풍이 서있는가가 환하게 보인다.
어머니가 따로 아버지가 따로 생각과
생활이 다른 아이의 표정은 슬프다 .짜증이 난 표정이다.
학습에 흥미가 없고 학교생활이 죽을 맛인 것같이 보인다.
학원을 많이 다니는 아이는 더욱 큰 일이다.
기본을 가르치지못한 학원에서 아이는 더욱
스트레스를 받는 것이다.
어린 아이들은 많이 놀아야 한다. 특히 자연에서
흙과 모래와 나무와 꽃잎과 동물과 하늘을 보면서
인간성이 메마르면 아무것도 이룰 수가 없는 것을.
오늘은 동시를 외우기다. 성능 좋은 마이크가 있고
음악이 있으니 분위기를 아는 아이는 분위기를 잡고
동시를 잘 외운다.아이들까지 감동을 받는다.
공부는 대충 하고 동시가 있는 하루를 보내면 그 이상
무엇이 필요가 없는 것이다.
꽃씨--김새로미 (코가 매일 흐르는 아이다.
줄넘기를 잘 한다.
공부에는 관심이 없다.)
꽃씨야,꽃씨야, 어디있니?
요~~기-----.
꽃씨야,꽃씨야,
나오너라.
아직두---
햇님오면 나갈게
빗님오면 나갈게
코자고 나갈게
왜가리---민선홍(눈이 초롱초롱하는 아이다.
호기심이 많고 늘 태도가 바르다. 아이가)
왜가리야 왝
어디가니 왝
엄마찾니 왝
아빠찾니 왝
왜 말않고 대답만 하니
왝 -------왝
*아기벌---박푸름 (야무진 얼굴에 욕심이 대단하다.
아무것도 놓칠려고 않고 열심하다.
무서운 느낌이 든다. 하려는 욕심이)
첫나들이 아기벌이 꽃밭을 찾아와서
붕붕붕붕 살래살래 고개 젓는 꽃을
노려보며 침으로 쏘겠다.붕붕붕붕
*봄동산---정유진 (눈이 크고 맑은 아이.아직 아기같은
느낌을 벗지 못한 귀여운 털복숭아같은 아이 )
아지랑이 곰실곰실 소꼽놀던 양지쪽에
할미꽃 발그레 고개를 쏘옥 내밀면
깜짝 놀라 눈을 뜨는 아기 버들가지
(지가 아기 버들가지이면서)
*봄바람---이지영 (성숙한 처녀같다. 아는것이 많고
상식이 풍부하며 창의적인 발상에
놀랍다.어떻게 키웠길래?)
바람이 아기처럼 잔디밭으로 기어가요.
바람이 아기처럼 꽃나무를 흔들어요.
바람이 아기처럼 모자를 벗어요.
바람이 아기처럼 할아버지 수염을 만져요.
*새싹---양현웅(배용준같은 미남얼굴에 태도는
육군대장같다.당당하고 똑똑하고
의욕적이고 칭찬은 받아놓은 당상이다.
엄마의 얼굴도 모르는 아이다.)
해님이 비쳐주자 새싹들은 운동을
하고요.달님이 비치면 꿈나라가는
귀여운 새싹들 파릇파릇 새싹
돋아나면 해님과 달님 기뻐하고
초롱초롱 별들도 기뻐하지요.
자기들이 초롱초롱하고 귀여우면서
자연을 노래하는 동시를 외우는 입들이
병아리 입처럼 예쁘고 앙증맞다.
엄마들은 얼마나 이쁠까?
이 아이들을 보면 우리나라의 장래가 밝아 보인다.
잘 키우자.
잘 가르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