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는 잘 봤다.
서울의 봄.
요즘 이슈가 되는 영화로 전두환이 정권을 잡으려고 몹쓸 짓을 한
12.12 군사반란을 일으킨 계기를 상세하게 묘사한 아픈 역사의 영화.
7백만이 넘어섰으니 곧 1000만 명의 관객이 이 영화를 감상하며
그날의 기억을 다시한번 되새기게 될 것이다.
영화를 잘 보고 나오니 1시 30분이 되었다.
남편이 나에게 묻는 말
"배 고파?" 당연한 걸 묻는 남편이 마음에 안 든다.
"당연히 배가 고프지. 자기는?"
자기님은 배가 안 고프단다.
배가 안 고파도 와이프가 배가 고프다니 점심을 같이 먹어야 되는게 아닌가?
보통의 사람들은 이리 생각할 것이다.
"그래, 그럼 어떡할까?"
자기님은 할 일이 있어서 사무실에 들려서 일 좀 하고 운동도 해야 된단다.
"그래? 그럼 난 사거리에서 내려 줘."
혼자 걷다가 멸치 국수집 간판을 보고 들어갔다.
이곳은 지난 봄에 어설프게 알게 된 동생이 나에게 국수를 사주며 안면을 트인 곳이라
기억에 남는다.
김치 멸치 국수가 국물이 끝내주었다.
처음에는 엄청난 양에 놀래며
반 정도만 먹을 줄 알았는데 어느새 젓가락이 국물을 젓고 있었다.
커패에 들려 진한 라떼 한 잔을 마시고 쇼핑을 하는데
맘에 드는 제품을 폰에 담고 거리로 나섰다. 여기는 쇼핑백도 종량제 봉투도 없으니
다음을 기약할 수 밖에...
날씨가 포근해서 걷기에는 안성마춤이다.
걷고 걷다 보니 주부들이 피해갈 수 없는 하나로 마트가 보인다.
어느새 집 쪽으로 걷고 있었다.
폰에 자기님의 이름이 울린다.
어디냐고 묻는다.
이쪽으로 데리러 온단다.
그러라고 했는데 자기는 이곳에 와서 2층에 있는 서점에서 책 좀 보고 있겠단다.
그래? 같이 장을 보는 게 아니라 자기님이 하고 싶은 걸 하겠다는 말씀이지?
그러라고 했다.
카트에 주말에 먹을 일용 할 양식을 담았다.
주차장에서 만난 자기님이 트렁크에 일용할 양식을 담으며 혼잣말처럼 이야기를 한다.
점심을 안 먹었단다.
집에 가서 운동하러 갈 거란다.
그러라고 했다.
오늘은 자기님과 마음의 거리두기 하는 날이다.
저희는 늘 장을 같이 보는데 같이 다니지 않고 각자 먹을것을 담느라 계산할때 만나요... ㅋㅋㅋㅋ
부부가 함께하는 방식도 서로의 성향에 따라 다를것 같긴해요..
저도 영화를 봤는데 좀 씁쓸하더라고요.. 나중에 감옥에 가긴 했지만 너무나 가볍지 않았나,, 그사람은 잘먹고 잘 살았는데 라는 생각에요....
저는 남편을 그냥 동거인 이라고 저장 해놓았어요.
마가렛님 오늘 하루는 남편과 동거인 이였네여 ~ ^^
저도 며칠은 동거인이라고 생각해야 되나요?ㅋ
아직도 남자는 여자를 모르고 저또한 남자를 잘 모르네요.
지난번 생일 미리 댕겨서 형제들 모임은 있었지만 남편의 코로나로 참석을 못해서 이번 주말에 내려가보자 한것인데 바쁘다고 해서 저만 내려갔다 왔죠
그래놓고서는 이제와서 그런소리 하니 황당해서리
남자들은 모든것이 와이프 탓인가봅니다
누군가에 탓으로 돌리고 싶은데 제일 만만함이 와이픈 인것이죠
안간다고 해놓고 다른 형제들이 왜 안갔냐 어쩌니 소리 들으니 제탓하는것이죠
영화보셨군요
전 절대 이영화 남편이 보자고해도 같이 안볼거에요
얼마나 난리 치면서 볼지 아니까요
보려면 혼자보던지 다른사람과 봐야죠
이제 아버님께 해드리는 것도 조금은 남편에게 하라고 덜합니다. 우리가 누구의 며느리로 잘하는게 무조건 좋은건 아니더군요.
저는 늘 작은 장바구니를 가지고 다녀요.
가방을 안들고 나갈 때는 작은 비닐봉지라도 주머니에 넣고 다니니까 편리하더라구요.
멸치국수 잘하는 집이 있어서 좋으시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