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작가

이슈토론
창업박람회 65세 이상 관람객 단독 입장 제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배너_03
친구끼리도 말 못하는 이야기

조회 : 284

아름다운 것.


BY 마야 2004-02-03

아름다운 것.

 

 

장대같은 빗 줄기가 아스팔트 길을 덮고

그 아스팔트 위를 자동차가 달리면서

하얀 물갈퀴를 일으키며 질주하는

차량들의 꽁무니도 아름답고.

 

광화문 내거리에 사람들의 얼굴이

우산으로 덮여서 누구하나 웃는 미소하나 건네주지 않아도 아름답다.

 

버스 뒷 좌석 귀퉁이에 조심스레 앉아

젖가슴을 훤히 들어 내 놓고 어린 아들에게 젖을 주는

어머니의 모습도 아름답고

 

이미 백발이 머리 위에 내려 앉은

두 노인이 서로의 검버섯 핀 손을

마주 잡고 틀 이도 없이 웃는 모습도 아름답다.

 

어린 초등학생들의 무거운 가방 두개가

땅에 질질 끌려 학교에 등교하는

어린이를 따라가는 모습도 아름답고

 

코를 질질 흘리며 후루룩 들이마시는

흙 때묻은 얼굴의 꼬마 녀석의 짖굿은

얼굴도 앙징맞을 정도로 아름답다.

 

작은 초가 지붕위에 살포시 내려 앉은

서리가 노랗게 익어 지붕위를 구르는

누런 호박을 덮은 모습도

 

보리 이삭이 겨우 파릇한 모습을

눈 속에 감추고 서 있는 들녘고 아름답고

 

이른 아지랑이 실개울천에

몽글몽글 피어나는 모습도 아름답다.

 

자연과 자연.

인간과 인간.

자연과 인간.

기계와 인간.

인간과 기계.

 

저마다 다운 그 모습으로 있으면 무엇도 다 아름답다.

모든 만물은 저마다의 고유한 모습을 가지고 있어

그것을 자랑하지도 않고 그저 그렇게 있을때 가장 아름답다.

 

재털이에는 꽁초가 가득해야 아름답고.

어머니는 아이를 위해 젖가슴을 둥그렇게 드러낼 때 더욱 어머니 답다.

 

식탁위에는 식구들을 위해서 차려놓은 음식이 가득할때.

책상 위에는 몇권의 책이 두서없이 늘어져 있어야 아름답고.

 

노트에는 뭐라 읽어 내려가기 어렵게라도

씌여져 있는 어떤 글귀들이 있으면 그 또한 아름답다.

 

이렇게 만물은 답게 있을 때가 가장 아름답다.

 

봄은 대지를 잠에서 깨워 나뭇잎에게는

새싹을 틔우라고 바람에게는 더 멀리 봄이 왔노라고

비에게는 대지를 적셔 잠에서 깨어난 씨앗들의 목을 축이라고

그리고 양 떼들에게는

새 어린 양이 태어나라고 이렇게 저렇게 바삐 움직인다.

 

이 모든 대 자연 속에 있는 인간이 그 어떤

행동을 한들 내가 가장 나 다우면

이미 그로써 충분히 아름답다.

 

나이가 들어가는 모습이 또 다른 아름다움이요.

갓 태어난 어린 아이의 새근 거리는 숨소리가 아름답듯이 .

 

찬란한 탱양이 떠 올라 이른 아침으로 대지를 깨우고

선량한 사람들이 미소 머금은 얼굴로 범사에

감사해 하는 이 순간.

세상은 아름답다.

 

저 이란의 배고픈 어린 아이가 빵 한조각을 입에

물고 있는 모습에서 안도의 한숨을

저 티벳 고지의 승려가 현대화 되어가는 티벳의 젊은이들이

나이키 모자를 보면서 무심을 외치는 모습에서 또 한번의 안도의 한숨을.

 

민주화를 부르짖으며 장렬한 목숨을 불사른 아들의 사진을

목에 걸고 독재 정권 박정권을 비난하는 문구의 글을 앞에 둔

소복입은 할머니의 모습에서 또...또 한번의 안도의 한숨을.

 

아름다움은 매 순간마다

 

그가치과 그 힘을 달리한다.

슬픔이 슬픔을 다해 복받혀 오열로 솟아도 아름답다.

기쁨이 기쁨을 다해 온 신경을 풀어 헤치듯 줄기를 들어내어도

얼굴은 그지없이 아름답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것.

 

그것은 모든 인간의 감정이 가장 인간 다울때.

모든 사물이 그 사물의 명분을 어기지 않을때.

내가 나 일때 가장 아름답고.

네가 너 일때 가장 아름다운 것 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우리는 어디까지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살 수 있는 것 일까?

최초의 인류의 철학적 질문은

인간의 최대 행복이었다.

최대 행복을 위해서 던지 질문이 바로 지적인 질문.

육체를 벗어난 정신의 고찰 이었다.

 

그 정신의 고찰을 깊게 끌어 들여 종교로 이어지고

사회학. 역사학 그리고 천리를 이해하기 위한 과학적 질문이

잇달았다.

그렇게 인간이 가장 아름다워질 방법을 최대의 행복론으로 몰고 갔던

서양 철학사에도 새 바람이 인다.

 

있는 그대로를 받아 들이기...

이것이 예전 동양의 철인들의 사상인

사물이 가장 아름답기 위해서는

답게.

다운것.

다울것.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것.

그것은 답게 서 있는 만물.

바로 그것이다.

 

p.s:우리 괜챦은건가?(이세상 제대로 돌아가는거야?)라는 질문에 대한 나의 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