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엄마! 나 우울해 "
느닷없이 딸 아이가 말 합니다.
" 아니, 왜? "
" 몰라. 그러니 나 말 시키지 말아 "
차암 별일이네.
" 알았어 말 안시킬께 "
그렇게 말은 해 놓았는데 가만히 생각을 해보니 맹랑하다 싶더라구요.
( 요 녀석이... )
살그머니 딸 아이의 방으로 들어가서는 눈치를 보며 딸 아이에게 묻습니다.
" 무슨일 있니? "
" 아니야 "
" 친구랑 싸웠니? "
" 아니라니까 "
" 그럼 운동이 힘드니? "
" 엄마~~~ "
( 아이쿠 깜짝이야 지지배두... )
사춘기가 요즘 아이들은 왜 그리도 빨리 오는지요.
금방 까르르~ 하고 넘어가다가도, 금방 또 쌜쭉 해집니다.
우리때 같으면 빨라야 중학교. 그것도 아주 드믈게 말입니다.
대다수가 고등학교에나 가야 사춘기라는 말이 필요했는데.
요즘 아이들은 무엇이든 빠른가 봅니다.
아이에게 무안을 당하고는 슬그머니 아이의 방을 나왓읍니다.
그런데 잠시후 입니다.
다시금 제 방에서 나온 딸아이는 내게 말합니다.
" 엄마! 나 외로워 "
( 이건 또 뭔 소린가? )
가슴이 철렁 했지만 내색없이 난또 아이에게 묻습니다.
" 왜 외로운데? "
" 나도 모르겠어 "
" 엄마가 옆에 있는데도? "
" 응 "
" 이따가 아빠도 들어오시는데? "
" 그래도 "
" 참 이상하다 엄마, 아빠...그리고 강아지들 모두 있는데 왜 외로울까? "
" 나도 몰라 "
" 엄마가 어떻게 해주어야 안 외롭고 안 우울하겠니? "
" 모르겠어 아무것도 "
" 엄마가 노래 불러줄까? "
" 트로트? "
" 아니야. 너 좋아하는 져디 노래 불러줄께 "
" 그 노래도 트로트 버전으로 하잔아 "
" 그렇게 안하도록 노력해 볼께 "
그리고는 나는 지오디의 거짖말을 부릅니다.
" 잘가~ 가지마~ 행복해... 나를 잊어줘 잊고 살아가줘~ "
" 고만해 엄마 차라리 안 듣는게 더 낮겠어 "
" 아니, 왜? "
" 엄마는 어떻게 노래만 하면 다 트로트야? "
" 미안해. 그럼 다른거 뭐 해줄까? "
" 됐어. 아무것도 하지마 "
" 엄마가 원숭이 해 줄까? "
원숭이란 내가 가끔 딸 아이 앞에서 부리는 재롱? 입니다.
아이가 힘들어할때마다 가끔씩 한번 해 주면 아이는 까르르 넘어가거든요.
" 하지마. 오늘은 안 보고싶어 "
" 에이~ 엄마는 하고 싶은데... "
" 하지마 "
" 에이 딸..."
하면서 나는 아이의 옆구리를 살살 건드립니다.
내 성화에 못 견딘 딸 아이가 고운눈을 흘기며 말 합니다
" 한번만이다. "
" 알았어 "
역시 내 짐작대로 아이는 금방 까르르~ 하고는 넘어갑니다.
본인의 뱃살까지 쥐고는 말입니다.
그리고는 웃으워 죽겟다며 고만해를 외칩니다.
작전은 성공을 했읍니다.
아직 어린 나이라지만.
아이에게도 이유없는 우울과 외로움 분명 있을 겁니다.
그냥 모르는척 하기에는 아이는 아직 어립니다.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장난으로 난 넘깁니다.
그래야만 아이가 성장해감에 있어서 감정의 기폭을 쉽게 다스릴수 있을것 같아서 말입니다.
그리고 또 하나.
내가 아이에게 피는 재롱에는 치밀한 계산이 숨어있읍니다.
이다음에 내가 늙고 힘없어졌을때 말입니다.
노인성 우울이 올수도 있을텐데...
내가 지금, 아이가 우울과 외로움을 표현했음에도 그냥 모른척을 해 버린다면..
아이도 분명코 내게서 배운 그대로 내 외로움과 우울함을 외면할것 같습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엄마가 딸 아이의 투정에 관심을 갖어준다면.
아이는 이다음에 성인이 되고.
엄마, 아빠는 노인이 되었을때.
우리 노인의 외로움과 우울함을 한번쯤은 돌아보아 주겠지요.
그렇게 우리의 간지르기와 지오디의 노래.
급기야는 얼굴을 괴기스럽게 찌그려뜨린채로 원숭이가 되어서는
온몸을 겅둥거리며 한참을 개그맨 노릇을 하였더니.
내딸이 말합니다.
얼굴가득 웃음을 머금은 채로 말입니다.
" 내가...엄마때문에 웃고산다 "
( 이론~ 별 괴상한 소리 다 듣겠네 )
아닌게 아니라 자식때문에 웃고 산다는 말은 많이 들어보앗지만서도
이제 14살 먹은 딸 아이 입에서 나온 엄마때문에 웃고 산다는 말은
실로 어처구니가 없읍니다.
( 그래, 그렇게라도 해서 웃고 살거라 눈물많은 인생보다는 웃음많은 인생을 살수만 있다면...
엄마는 언제던 네 앞에서 개그맨도 되주고 삐에로도 되어주마 )
언제 그랬냐는듯 지금 아이는 테레비젼 앞에서 열심히
시청자로서의 역할에 충실합니다.
그 사이에 나는 여기 이곳에서 이렇게 내 딸의 이야기를 하고 있고요.
엄마 때문에 웃고 산다는 그말....
뒷맛이 참으로 좋으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