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작가

이슈토론
자치구별 분리 배출 기준이 다른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배너_03
친구끼리도 말 못하는 이야기

조회 : 1,466

하얀, 흰


BY 씀바귀 2006-12-17

위안과 치유를 위해 눈은 내린다. 하얀 눈은 상처를 도닥

이고 감싸주는 마력 같은 걸 가졌다.

 

나는 휜색을 좋아하진 않지만 흰 국화는 좋아하는 편이

다. 초상집에서 많이 쓰이지만 흰색이 주는 절대적 신비

감 때문이다.

 

흰색은 정의를 숭상하는 우리 민족의 상징이었다. 왕실

이 부정과 불의를 저질렀을때 충신이 입던 농상복역시

흰색이었음이다.

 

고려사를 보면 이자겸이 착춘경에서 패해 근왕군에게 항

복을 할대도 흰옷을 입었다고 전한다.

단양 우시 시조인 우탁은 충렬왕때 측창원비가 다른 남

자와 통정을 하는 등, 패륜을 저지르자 흰옷을 입고 대궐

앞에 나섰다는 것이다.

 

청념, 결백, 청민정신은 우리 민족의 상징으로 흰옷을 즐

겨입었음을 여러 문헌에 나타난다.

중국사서 魏志에는 부여시대부터 이미 우리민족이 흰옷

을 입었다는 기록이 보인다. 

다른 문헌에는 삼국, 고려,조선시대에도 귀족을 제외한

 일반 백성들은 흰옷을 주로 입었음을, 또한 흰옷은 일반

 백성분만 아니라 높은 고관대작도 즐겨 입었던 옷임을

알수 있다.

 

흰 무명이 고려 말에 전래된 이래 조선인의 옷감은 대체

로 土布라고 불리는 흰 무명, 삼베, 모시 등이었다.

그러나 우리 민족이 흰옷을 좋아한것만은 아니었다. 정

작 즐겨입던 옷은 여러가지 문양과 화려한 수가 놓인 옷

이었다.혼인때 입던 옷도 화려한 꽃 무늬옷이었고 조선

시대 젊은 처녀가 가장 갖고 싶어하는 옷이 다홍색이나

연분홍 치마저고리였다고 전한다.

 

우리 만족이 흰옷을 즐겨입을 수 밖에 없었던 것은 염색

기술이 부족해서였다고 하는데 그것은 잘못된 상식이다.

우리 염색 기술의 우수성은 화려하게 채색된 각종 벽화

가 수천년동안이나 본래의 색이 바래지 않고 보존되어왔

다는 점에서도 잘 알수 있으니 말이다.

 

화려한 색조, 단청에 매료된 외국 상인들이 조선의 옷감

을 수입하러 드나들었음을 볼 때 그 수준이 얼마나 높았

는가를 말해주는 대목이다.

 

흰옷은 깨끗함의 상징이지만  더러움이 쉽게 타는 단점

을 가졌다. 털털한 사람은 입기가 좀 그렇다.

특히 나같은...

 

|||2